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영화 <파묘> 줄거리, 등장인물, 쿠키, 결말 포함 (스포주의)

반응형

영화 개봉 전부터 김고은 배우의 신들린 연기로 화제가 되었었는데요. 영화 파묘는 무당이 묘를 팔 때 하는 행동들과 묘를 잘못 건드리면 어떤 일이 일어나는지에 대해서 자세하게 다룬 내용의 영화입니다. 연기력이 훌륭한 배우분들이 연기를 하셔 매우 몰입감이 높았고 재미있게 봤던 미스터리 영화입니다.

영화 <파묘> 출연진 등장인물

주연으로는 김상덕역을 맡은 최민식 배우님, 이화림역을 맡은 김고은 배우님, 고영근역을 맡은 유해진 배우님, 윤봉길역을 맡은 이도현배우님이 주연으로 출연을 하셨고 박지용역의 김재철배우님, 일본귀신역을 맡은 김민준 배우님들 전진기, 박정자, 박지일, 이종구, 이영란, 정상철, 김지안 등 연기력이 뛰어난 다양한 배우님들도 조연으로 출연을 하셨습니다. 최민식, 유해진, 이도현, 김고은 배우님은 주연으로써 엄청난 영향력을 보여준 영화입니다.

개봉일, 상영날짜

2024년 2월 22일에 개봉을 한 최신 영화입니다. 현재까지도 많은 사랑을 받고 있는 영화이기 때문에 앞으로도 꾸준히 상영을 할 것이라고 예상이 되는데요. 3월 중순까지도 무난하게 극장에서 상영을 하실 수 있을 것 같습니다. 아직까지도 많은 분들이 상영을 하고 계시고 관람객 평점이 8점 이상으로 아주 폭발적인 인기를 끌고 있는 영화입니다.

줄거리

아들이 아프기 시작하자 가족들에게 기이한 병이 대물림된다고 생각한 미국 LA의 한 집안 장손을 만남으로 시작이 됩니다. 장손은 조상의 묫자리가 화근인 것을 화림을 통해 알게 되고 화림은 묫자리를 이장할 계획을 합니다. 안전하게 묫자리를 이장하기 위해 한국 최고의 풍수사 상덕과 영근을 만나 부탁을 하게 되고 다 함께 묫자리로 이동을 하게 되는데 묫자리에서 엄청난 기운을 느낀 상덕은 이 자리에는 절대 사람이 묻히면 안 되는 자리라고 말을 하며 이 일은 없었던 일로 하자고 자리를 뜨게 됩니다. 하지만 화림은 거액의 돈이 걸려있고 자식이 아프다는 소리에 상덕을 설득하기 시작합니다. 상덕은 자신의 딸도 생각이 나면서 꼼꼼한 준비를 끝에 묫자리를 이장시키는 것으로 전개가 흘러갑니다.

결말포함

조상이 누워있는 묫자리는 절대 사람이 누워있으면 안 되는 자리이기 때문에 묘를 이장하다가 모든 사람이 위험에 빠질 수 있기 때문에 대살굿을 벌이며 파묘를 시작하게 됩니다. 대살굿을 하며 성공적으로 파묘를 하게 되었는데 쏟아지는 비로 인해 화장을 하지 못하고 영안실에 잠시 모셔두기로 합니다. 하지만 영안실에서 관계자에 의하여 관뚜껑이 열리게 되었고 조상의 혼령이 도망가게 됩니다. 이 혼령은 미국에 있는 장손의 아들에게 해를 끼치기 시작했고 지용까지 죽음에 이르게 합니다. 상덕, 화림, 영근, 봉길은 다 함께 일을 수습하기 위해 파묘를 한 자리에 가니 세로로 세워져 있는 또 다른 관을 발견하게 됩니다. 그 관을 꺼내 화장을 하기 위해 잠시 절 창고에 넣어두었는데 알고 보니 그 관은 만 명의 목을 베고 정령이 된 일본 무사의 관이었고 일본 무사의 정령이 마을 사람, 가축을 죽입니다. 악령의 만행을 뿌리 뽑기 위해서는 묫자리에 숨겨진 쇠말뚝을 뽑아야 하는데 쇠말뚝을 찾기 위해 다시 묫자리로 찾아갑니다. 화림이 일본 무사의 혼령을 속이고 그 사이에 상덕이 쇠말뚝을 찾기 시작하는데요. 결국 나무에 자신의 피를 묻혀 일본 무사와 맞서 싸운 상덕은 승리하며 영화가 끝이 납니다.

개인적인 생각

무서운 공포 영화일 것이라고 생각을 했는데 무서운 공포 영화가 아닌 미스터리 영화입니다. 한껏 기대를 하고 봤는데 기대 이상을 할 정도로 너무 재미있는 영화였고 한국의 문화를 잘 살려서 이야기를 풀었기 때문에 더욱 흥미가 생겼던 영화였던 것 같습니다. 역사의식을 다시 한번 깨워주는 영화였던 것 같고 연기력이 훌륭한 배우님들이 연기를 하셔서 더욱 집중이 잘되고 끝까지 한 장면도 놓치지 않고 봤던 영화인 것 같습니다.

쿠키

영화 파묘는 쿠키가 없습니다. 그러니 영화 속에 나오는 숨겨진 메시지에 집중을 하시면서 관람을 하시면 더욱 재미있는 영화가 될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영화에 등장하는 주인공들 이름은 실제 독립운동가에게서 따왔다고 합니다.

반응형